전북대 의대 비대위, “정부의 태도 변화만이 해결책” -13일 수용 가능 정원 조사 후 교수 인력, 시설 등 보완 촉구

2024. 3. 14. 13:44카테고리 없음

"진정성 있는 정부의 태도 변화만이 학생들을 돌아오게 할 수 있습니다."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비상대책위원회는 13일 대학 본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준비 없는 의대 정원 증원이 이번 파행을 불러왔다"며 "정부의 전향적이고 진정성 있는 태도 변화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먼저 비상대책위원회는 "의과대학생 전체의 휴학, 유급이라는 초유의 상황은 곧, 향후 의학 교육시스템의 붕괴를 의미한다. 학생이 없는 학교의 교수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며 "의과대학 학생들의 조속한 학업 복귀를 위해 비대위를 구성했다"고 구성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이어 "당장 내년부터 현정원의 65%나 되는 2,000명을 한 번에 증원하는 것은 교육현장의 상황을 전혀 고려치 않은 결정"이라면서 "현재 의과대학 현장은 갑작스러운 증원에 전혀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강의실뿐만 아니라 실험실습, 임상술기 지원시설, 병원 임상 실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학은 전국에 한 곳도 없다"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의학 교육은 학생 수를 증원하고 나서 그것에 맞춰 교수나 시설을 땜질처방 하듯이 채워가서는 안된다"면서 "모든 분야가 마찬가지지만 생명을 다루는 의학교육은 의학교육의 질을 담보하기 위해 교수인력, 시설을 우선 갖추고 교육이 이루어져야 양질의 교육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또 "의학교육은 대학에서의 교육으로만 끝나지 않는다"며 "졸업 후 전공의 과정을 수행할 의료기관의 정원과 수련 시설이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증원이 결정되면 수많은 지역 인재들의 졸업 후 수련을 위해 수도권과 대도시로의 인력유출만 심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마지막으로 정부를 향해 "현재 여건에서 수용 가능한 정원 규모를 철저히 조사하고 교수인력, 시설, 환경을 보완해  교육이 가능한 범위 안에서 대화 협의체를 통한 합리적 방안을 도출할 것"을 제안했다.

한편 전북대 의대 교수들과 전북대병원 전문의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에는 과별로 1명씩, 총 20~30여명이 참여한다. 비대위가 구성되면서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에 반발해 이탈한 전공의 등 제자들을 지키기 위한 교수들의 집단행동이 가시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윤상 기자